환자 입장에서 치과를 검색해 본 적 있으신가요?
– 병원 마케팅은 ‘노출’이 아닌 ‘선택’의 과정
“요즘 마케팅 효과가 예전 같지 않아요.”
“아무리 상위노출 해도 환자가 안 와요.”
“근데 저는 솔직히 마케팅을 해야 하나 싶은 생각도 들어요.”
요즘 들어 더 자주 듣게 되는 원장님들의 말입니다.
특히나 일정 규모 이상,
입소문만으로도 환자가 꾸준한 병원일수록
이런 고민이 깊습니다.
그럴 때 저는 종종 이런 질문을 드립니다.
“원장님은 병원 찾을 때 어떻게 하세요?”
“한 군데만 보고 바로 예약하시나요?”
“병원이 하나만 떠도 믿고 가시던가요?”
그러면 대부분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며 웃으시죠.
"그건 아니죠. 요즘 누가 그렇게 해요."
맞습니다.
지금은 병원이 너무 많고,
환자 입장에서도 선택지가 너무 많습니다.
● 검색하면 5~6개 병원이 한눈에 보이고
● 그중에서 후기가 괜찮은지, 어떤 느낌인지 확인해보고
● 비교 후 괜찮아 보이는 곳을 ‘픽’해서 예약합니다
그런데 여기에 중요한 포인트가 있습니다.
환자는 병원을 찾는 것이 아니라,
‘내가 가도 괜찮은 곳’을 고르는 중이라는 겁니다.
어떤 원장님이 저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는데요.
“우리는 상위에 노출만 되면 올 환자들은 오게 돼 있어요.”
그 말이 맞았던 시절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아닙니다.
상위에 떠도, 클릭은 되지만
‘선택’되지 않는 병원이 많습니다.
왜일까요?
그 병원이 무엇을 잘하는지, 어떤 느낌인지,
환자 입장에서 가보고 싶은 이유가
콘텐츠에 없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제가 실제로 치과를 검색할 일이 있어
‘김포 교정치과’라는 키워드로 검색한 적이 있습니다.
상위에 뜬 병원들,
대부분 정보는 많았지만…
너무 어려운 말만 가득하거나
치료 사진이 너무 많거나
복붙처럼 느껴지는 글들만 있었습니다.
정작 "어디가 더 친절할까?"
"상담 잘해주실까?"
"우리 아이 데리고 가도 괜찮을까?" 같은 질문에는
아무 답도 못 주더라고요.
그래서 저는 치과 마케팅을 이렇게 정의합니다.
“보이게 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되게 만드는 일”
“선택되기 위해서는, 환자 입장에서 생각하는 콘텐츠 설계가 핵심”
블로그 글은 치료 설
명만 있지 않은가?
리뷰에는 실제 감정이 녹아 있는가?
인스타그램 피드는 동네 사람들에게
정서적으로 와닿는 이미지인가?
플레이스 소개글은
우리 병원을 처음 보는 사람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는가?
병원 입장에서 당연하다고 생각한 문장들이
환자 입장에서는 아무런 의미 없는 정보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피터스가 하는 일은 단순합니다
우리가 만든 콘텐츠가
‘선택되게 설계되어 있는지’ 점검하고
‘우리 병원을 가도 괜찮을 것 같다’는
감정의 전환점을 콘텐츠 안에 심고
그것이 블로그, 플레이스, 인스타, 리뷰 등
모든 채널에서 하나의 메시지로 연결되도록 만듭니다.
마지막으로, 질문을 하나 드릴게요
환자 입장에서, 지금 우리 병원은 어떤 모습일까요?
클릭은 되는데 예약은 안 되는 이유가 여기 있지 않을까요?
내원은 했지만 다시 오지 않는 이유도요.
소개는 잘 안 하는 이유도요.
선택받게 만드는 콘텐츠,
기억에 남는 한 마디,
다시 찾게 만드는 관계 설계.
그게 지금 치과마케팅이 해야 할 일입니다.
그 일을 저는, 저희 피터스는 설계해드립니다.
필요할 때 언제든 연락주세요.
무조건 ‘하셔야 한다’는 말, 드리지 않겠습니다.
다만, 함께 진단해보고 설계할 수는 있습니다.
고맙습니다.